짧은지식이여도 도움되었으면 싶습니다.
1. 종자 구입입니다.
해송의 경우엔 울산 방어진쪽과 동해지방의 씨앗이 가장 좋다고하는데, 종묘상에서 구입하심이 맞으리라봅니다.
저의 경우엔-거의 20년전- 종로2가쪽의 미림종묘상에서 구입하였습니다.
씨앗구입후 비닐에 싸서 냉장고에 보관을합니다. 이는 봄에 파종시 발아가 용이하게 위한 방법으로 저온처리라고
합니다.
2. 이른 봄에 파종을합니다.
저의 경우엔 2월초에 파종을하였는데 이는 하우스내에 1평정도의 묘종판을 준비-바닥에 전열선을 깔고...-후 파종
하고 그 위에 다시 비닐로 작은 하우스를 만들었습니다.
이는 노지에 바로 파종보다는 빠르기 때문입니다.
소나무의 경우 양수이기때문에 파종후 모래등을 뿌려주는정도, 살짝 묻히는정도입니다.
잡목의 경우 1달정도, 소나무는 약간 더 늦습니다. 발아과정이..
3.발아가되어..떡엽이 나오고 본엽이 3분의2정도 되었을때 작업을합니다.
이 작업은 분재에서 팔방근을 위함과 키를 낮추기위한-처음난 본엽아래에는 눈-가지가-이 거의 생기지 않기 때문
입니다.
님의 해송 1년된것은 이 작업이 되었는지... 아니라면 올바른 모양목등은 힘드리라봅니다.
작업전 준비물은 캇트칼,발근촉진제(뉴톤등),비닐폿톳,분재용철사(2번선정도)등입니다.
발아된 묘목을 뽑아 본엽아래 1센티정도에서 단번에 직각으로 자릅니다.
자른후 발근촉진제를 발라 준비된 비닐폿트에 옮겨심습니다.
물줄때-물론 조심스레 주어야합니다.- 묘목이 흔들릴수 있으므로 준비된 철사를 잘라 ㄷ 자로 만들어 떡엽쪽으로
눌러줍니다.
4. 새로운 뿌리가내리고 키가 어느정도 되었을때..
이때 소품,중품,아니면 좀 더 큰 분재로 할것인지 정하셔야됩니다.
완성시 수고 50-60센티로 보았을때
비닐폿트의 묘목이 키 20정도일때 직간이 아닌 모양목등으로 한다면 노지에 들어가기전에 기본 수형을 잡습니다.
한곡이나 채 모자란 곡이 나옵니다.
대구의 경우 잡목의 경우 당해에 장마전 노지에 옮기나 소나무의 경우에는 자람이 힘이듭니다.
님의 경우 어린묘목일때 뿌리자른후 삽목의 묘목인지 알수는 없으나-사진을 올리시면 알수있습니다- 그래도
분재를 만들겠다면 수형잡기가 우선이리라봅니다.
5. 기본 수형잡기.
여러 수형이 있으나 기본의 모양목으로볼때 제가 알고있는 과정입니다.
하나의 곡안에 작은 곡이 있으면 실생에서의 어린 티를 벗어나 더 멋진 모양으로 만들수가 있습니다.
적당한 분재용철사로-묘목 굵기의 3분의 1이나 2분의 1정도의 굵기- 묘목에 철사를 감슮니다.
곡을줄때 일정간격없이 무작위로 짧게줍니다.
이후 적당한 넓이의 곡을 주게되면 원하는 한곡안에 작은곡이 생겨 고태미가납니다.
님의 경우엔 위의 과정이 지난 이후에 다음과정이 필요하리라봅니다.
좋은분재 만들시기를 기원드립니다.
'분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춘양목 실생 묘목과 유아삽 4년생 비교 (0) | 2013.06.05 |
---|---|
[스크랩] 육송 미니 정원수 정식하기 (0) | 2013.06.05 |
[스크랩] 수형으로의 초대 (0) | 2013.05.29 |
[스크랩] 초보 분재인이 알아야 할 좋은 소재 고르는 기준 (0) | 2013.05.13 |
[스크랩] 분재관리 (0) | 2013.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