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목재배 76

삽목으로 번식하여 정식한 미니백일홍(미니배롱)묘목이 잘자랍니다.

삽목으로 번식을 하여 금년 봄에 정식한 미니배롱(미니백일홍, 애기배롱)나무의 묘목들이 뿌리의 활착이 잘되고 이제는 무럭무럭 예쁘게 자라고 있네요 금년에 숙지삽으로 삽목한 미니배롱나무 묘목은 현재 발근이 잘되고 있는 중으로 삽목상에서 새순이 잘나오고 있지요 또한 지난 봄에 정식한 미니배롱나무의 묘목은 2023년과 2024년에 삽목한묘목으로 식재를 하였으며, 새로 정식하여 자라고 있는 미니배롱나무의 묘목들이 잘자라서 보통 7월 초중순이면 꽃대가 나오겠지만 우리 농원에는 지난 봄에 정식을 하여 자라고 있는 미니배롱(애기배롱)나무라 조금더 늦은 7월 중하순에야 꽃대가 나오고 배롱나무가 꽃을 피우겠지요 8월이 되면 [솔향기마을농원]에는 온사방이 미니배롱(미니백일홍)의 꽃이 만개가 되는 것을 상상하면서 기대하여..

묘목재배 2025.06.30

적송, 해송, 반송 등의 소나무와 조선측백나무 종자를 파종하였어요!

금년에도 [솔향기마을농원]에서는 소나무인 적송과 해송, 반송에 대하여종자를 파종을 하였으며, 측백나무도같이 종자를 파종을 하였네요 소나무류인 적송(조선소나무)과 해송(곰솔)과 반송에 대한 솔방울을 지난해채취를 하여 건조작업과 선별을 하여상온에서 저장을 하였다가 노천매장을하였던 소나무 종자를이달에 파종을 위하여 소나무 종자를준비하여 종자소독과 침종을 한후에파종상을 만들고 소나무 종자를 파종을 하였지요 소나무 종자는 야생조류가 매우 좋아하여종자를 파종한 후에는 소나무종자나 발아가 되면 야생조류(새)가 달려들지 못하도록 야생조류피해방지방을 설치도 하였네요측백나무도 지난해 9월에 측백열매를 채취하여 건조작업을 하여 종자를 받아 소나무 종자..

묘목재배 2025.05.06

남천 어린묘목이 강추위를 이겨내고 자라는 중입니다.

지난해에 남천종자를 파종을 하여10월에 발아가 되어 남천묘목이떡잎만 자라는 시기에 겨울철로 접어들어 떡잎에서 본옆이 자라기 시작하는 묘목이 보이는 것도 있는 상태에서 월동을 시작이 되었지요 남천의 어린 묘목이 겨울철 강추위와한파를 이겨내고 무사히 월동이 되고2월중순 이후부터는 조금씩 본옆이자라는 것이 관찰이 되었는데 이제는 3월초순이 지나고 중순으로 들어가는 시간이 되는 지금은 그래도본옆이 자라는 것이 많이 보입니다. 앞으로 4월이나 5월에는 파종상에서크고 있는 남천묘목을 굴취작업을 하여 정식상으로 이식을 할 예정입니다. 2023년에 피종을 하였던 남천묘목을지난해 늦여름에 정식상으로 이식을하였던 남천묘목도 월동을 잘하고다시 자라기 시작을 하고 있지요 정원수로 식재할 정도의 남천묘목도가을 단풍이 적색으로 ..

묘목재배 2025.03.14

아직도 남아있는 수종의 포트묘목이 더 있네요!!

이미 [솔향기마을농원]에서 번식하여재배하는 있는 침엽수와 활엽수의 포트 묘목을 출하중이거나 출하를 기다리고있는 묘목을 포스팅을 하였는데 아직도남아 있는 여러수종의 포트묘목이 있어서 포스팅을 한번더 합니다. 서양둥근측백의 한종류인 테디라는 수종의 포트묘목으로 나뭇잎은 노간주나무처럼 생겼으나 잎이 매우 부드럽고축구공처럼 예쁘게 자라는 수종입니다. 다음은 편백나무 묘목으로 현재 칼라포트에 식재되어 있는 묘목으로 묘목의높이가 0.3~0.6m정도 크기의 편백나무 묘목입니다. 활엽수이며 화목류인 병꽃나무로병이 꺼꾸로 매달려 있는 모습의 꽃이개화한다고 하여 병꽃이리는 수종으로분홍색병꽃과 붉은색의 병꽃나무포트묘목이 있지요 다음도 같은 화목류인 능소화로 분홍색이 아닌 붉은색의 능소화가개화가 되는 능소화 포트 묘목입니다...

묘목재배 2024.12.18

솔방울을 채취 소나무 종자를 받으려고 건조작업을 합니다.

2025년도 봄에 파종 할 소나무 종자를확보하기 위하여 [솔향기마을농원]에서는9월부터 10월까지 직접 솔방울(적송, 해송, 반송)을 채취를 하여 지금은 솔방울 건조작업을 하고 있는 중 이랍니다. 소나무에 달려있는 솔방울은 봄철에 꽃이 피어 송화가루가 날리면서 자연스럽게 수정이 되고 솔방울이 달리는데 당년에는 솔방울의 크기가 콩의 크기 정도 성장을 하고 있다가 다음년도 봄에 우리가 볼 수 있는 솔방울의 크기로 자라게 되고 성숙이 되어 2년만에 채취를 하게 됩니다. 소나무 종자를 확보를 위하여는 소나무에 달려 있는 솔방울이 어느정도 익어서 성숙한 솔방을을 따서 건조작업을 하면 되는데 건조하는 기간이 다른 종자와 비교하면 더많은 시간이 소요가 되지요 솔방울이 기간이 경과되어 건조가 되면서 점차적으로 솔방울이 ..

묘목재배 2024.11.07

미스김라일락(팔라빈) 묘목이 많이 자랐네요

기존의 라일락(수수꽃타리)이 아닌 왜성품종인 미스김라일락(팔라빈)의 묘목이 여름철의 무더위와 폭염, 가뭄을 이겨내고 잘자라 내년에는 예쁘고 화사한 라일락의꽃을 피울 것으로 기대를 하여 봅니다. 팔라빈이라는 라일락의 품종으로 일명미스김라일락으로 불리우는 수종으로[솔향기마을농원]에서 직접 삽목으로번식을 하여 재배를 하고 있는 품종의묘목입니다. 미스김라일락은 키가 매우 작은 왜성수종이며, 라일락 나뭇잎의 크기도 기존의 라일락(수수꽃타리)보다절반의 크기보다 더작은 잎을 갖고있는 수종으로 정원수로도 많이 식재를 하는 수목이지만 분재 동호인들이 분재목으로 매우 좋아하는 수종중의 하나이기도 한 미스김라일락(팔라빈) 입니다. 미스김라일락의 꽃의 색상은 보라색의꽃을 피우는 품종으로 작은나무와 작은잎의 나무에 보라색상의 ..

묘목재배 2024.10.28

황금(금테)사철나무 묘목이 황금색의 색상을 자랑합니다.

황금(금태)사철나무의 묘목들이가을에 접어들며 더욱 선명한 색상을드러내며 잘자라고 있습니다. 황금사철, 금테사철나무를 삽목으로직접 번식하여 포트나 노지에 정식을하여 자라고 있는 모습입니다. 노지에 정식하여 자라고 있는 황금사철나무 묘목들이 어느정도 자라서멋진 묘목으로 변해가고 있지요 황금(금테)사철나무 묘목들이 세월이지나서 어느덧 성목이 되어 멋진 수목으로 기품이 느껴집니다. 황금(금테)사철나무는 생울타리나, 정원수 등이나 돌틈에 식제하는 메지목등 다양하게 식재를 하고 있는 정원수로재배하는 요령도 어려움이 없는 누구나키워볼 수 있는 수종입니다.

묘목재배 2024.10.23

측백나무 열매를 채취하고 건조하여 측백종자를 받으려고 합니다.

2025년도에 측백나무 종자를 파종을 위해서는 측백종자가 필수적으로 확보가되어야 하므로 지난 9월말에 측백나무열매를 채취하여 햇볕을 이용한 건조작업을 하고 있는 중이랍니다. 조선측백나무에 맺혀있는 측백열매가9월중순 이후가 되면 열매가 성숙이 되어 열매를 채취하기 위한 적기가 되므로 시기에 맟추어 측백열매를 채취합니다. 측백나무(조선측백) 열매를 따서 열매와 혼합되어 있는 측백나무 잎과 혼합물 등을 선별하여 열매를 햇빛에 건조를 하면 되며, 측백열매를 건조를 하게되면 열매가 자연스럽게 갈라지고 벌어져 측백종자가 탈립이 됩니다. 측백나무 열매의 껍질이나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 탈립이 된 측백종자만 선별하는 선별작업을 하여 종자를 채취하게 되며, 선별된 종자는 상온에서 건조저장이나저온저장 또는 노천매장을 하여 ..

묘목재배 2024.10.18

화살나무 묘목이 점차적으로 붉은색 단풍으로 변화하고 있네요

[솔향기마을농원]에서 삽목과 종자로직접번식을 하여 재배하고 있는 화살나무묘목들이 지난 이른봄부터 시원스럽게 무척이나 잘자라고 있는 모습의 화살나무입니다. 여름철의 무더위와 폭염이 9월중순까지 무더위가 이어지던 날씨가 9월말부터는전형적인 가을날씨로 변하고 아침기온이많이 내려감에 따라 화살나무 잎의색상도 점차 붉은색 단풍으로 변화가 시작 되었네요 삽목으로 번식한 화살나무 묘목은 1년생과 2년생은 성장속도가 매우 늦게 성장하는 편이며, 3년생부터 화살나무 묘목무터는본격적으로 성장하는 속도가 빠르게자라며 멋진 표목으로 성장을 하게 된답니다.화살나무는 가을의 붉은색으로 변한단풍잎과 빨간 화살나무 열매가 매우멋진나무라 좋아 하시는 분들이 요즈음식재를 많이하는 수종중의 하나이지요 화살나무를 귀농이나 귀촌을 하시는 분..

묘목재배 2024.10.13

가뭄과 폭염을 이겨내고 측백나무 묘목이 잘자라고 있어요

우리나라 고유의 측백나무가 즉 조선측백나무 묘목이 봄철의 가뭄과 여름철 폭염을이겨내고 무척이나 잘자라고 있네요 [솔향기마을농원]에서 조선측백나무 열매를 채취하여 측백나무 종자를받아 종자를 농원에서 직접 파종하여 육묘를 하고 있는 조선측백나무 묘목이예쁘게 자라고 있지요 측백나무 1년생 묘목을 육묘하여 다음해봄철에 굴취작업을 하여 뿌리를 단근작업을 하여 정식을 하고 2년생을 재배하는 방법으로 육묘를 하고 있답니다. 측백나무 3년생 묘목부터는 제법 많이자라서 식재하는 목적에 맞게 가정이나 기업체, 공장, 공원등의 생울타리나 차폐수로 식재를 많이 하며 요즈음은 산림복구용으로도식재를 하고 있지요 우리나라 고유품종인 측백나무는 겨울철추위에도 매우 강한 수종이며, 소백산 등의산지에서 자생을 하는 수종이라 우리나라어느..

묘목재배 2024.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