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 6

조경수 묘목들이 봄철 식재시기에 맞추어 출하되고 있습니다.

금년도는 3월의 기상이 매우 변덕스러운날씨가 이어지다 보니 예년보다도 각종묘목들의 출하시기가 늦어지는 것같습니다. 그래도 이번주 부터는 본격적인 묘목소나무류와 측백나무과의 조경수 들이 계속 출하되고 있어 과연 금년도의성적이 기대가 되고 있지요 금년에는 묘목도 본격적으로 출하가이루어 지면서 소나무 성목보다는 조금작은 중간목 정도의 수목들의 수요도조금 늘어나는 것 같기도 하구요 이번주말의 기온도 또다시 영하의기온이 예상이 된다고 하는데도전국에서 여러지역이 산불로 몸살이나는 문제가 발생되고도 있네요 봄철의 나무를 식재나 이식을 하는 시기에는 매년 항상 돌이켜 보면 봄가뭄과 봄바람으로 나무식재의 어려움이 있는데금년에도 여전히 비슷한 기상 상황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럼에도 봄철의 나무를 식재하는 시기에 맞추어 ..

봄철 꺾꽃이(삽목)을 침엽수와 활엽수를 다같이 시작을 하였지요!

금년에는 [솔향기마을농원]의 제2농장에 지난해 육묘용 비닐하우스 2동에 200평의비닐하우스를 신축을 하여 처음으로 제2농장의 비닐하우스에서 봄철 숙지삽목을위한 작업을 시작하였지요 우선 처음으로 하는 삽목작업을 위하여별도의 삽목상을 정리하고 삽목상자로 이용하기 위하여 미리 준비하였던 재활용스트로폼박스를 진열하고 모래를 5톤 덤프차량으로 구입을 하였으며, 스트로폼상자인 삽목상자에 삽목용토로사용 할 모래를 넣어 삽목상을 만들어서접목작업을 마무리한 지난 주말부터 묘목의 출하작업 하는 중에도 시간이 나는대로 삽수를 채취하여 삽목작업을시작을 하였답니다. 금년에도 침엽수로는 에메랄드그린을시작으로 문그로우, 스카이로켓향나무,불루엔젤, 황금측백 등으로 삽목을 진행하고 있으며, 활엽수로는 목수국을 시작으로 산머루, 다래,..

금년도 황금송, 사피송, 황금해송, 용송, 반송 접목을 마무리

금년도 소나무류인 황금송, 사피송, 황금해송, 용송, 반송 등에 대한 접목을 마무리 하였네요 접수는 지난 2월말에 채취하여 저온저장을하여 보관을 하였다가 기온이 어느정도 오르는 지난주의 후분부터 이번주 주초에 접목을 마무리 하였는데 해송2년생을 대목으로 하여 제일먼저반송접목을 시작으로 하여 사피송(사목송)으로 접목을 하였으며, 용송과 황금해송으로 접목작업을 하고 반송으로 접목을 완료 하였지요 노지접목상에서 접목을 하였으므로접목상에 활대를 꽂은 다음 비닐을피복을 하고 부직포로 해가림시설을하는 것으로 접목은 완료하였지요  접목상을 5월말 경에는 비닐과 부직포를제거하여 자연스럽게 햇빛을 볼 수 있는소나무 접목이 되는 과정을 기다리고있으면 되겠네여!!

카테고리 없음 2025.03.19

남천 어린묘목이 강추위를 이겨내고 자라는 중입니다.

지난해에 남천종자를 파종을 하여10월에 발아가 되어 남천묘목이떡잎만 자라는 시기에 겨울철로 접어들어 떡잎에서 본옆이 자라기 시작하는 묘목이 보이는 것도 있는 상태에서 월동을 시작이 되었지요 남천의 어린 묘목이 겨울철 강추위와한파를 이겨내고 무사히 월동이 되고2월중순 이후부터는 조금씩 본옆이자라는 것이 관찰이 되었는데 이제는 3월초순이 지나고 중순으로 들어가는 시간이 되는 지금은 그래도본옆이 자라는 것이 많이 보입니다. 앞으로 4월이나 5월에는 파종상에서크고 있는 남천묘목을 굴취작업을 하여 정식상으로 이식을 할 예정입니다. 2023년에 피종을 하였던 남천묘목을지난해 늦여름에 정식상으로 이식을하였던 남천묘목도 월동을 잘하고다시 자라기 시작을 하고 있지요 정원수로 식재할 정도의 남천묘목도가을 단풍이 적색으로 ..

묘목재배 2025.03.14

영월 단종의 능인 장릉을 찾아서 살펴 보고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영월 장릉으로 조선시대 6대 왕인 단종은 12세의 나이에왕위에 올랐으나 재위 2년만에 숙부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이 되었으나단종복위운동(사육신 사건)이 실패하여 노산군으로 신분이 낮아져 영월 청령포로 유배가 되었지요 유배지에서 생활하던중 17세(1457년)에 세상을 떠나게 되었는데 어느 누구도 시신을 수습하지 않아 영월호장 엄홍도가 시신을 몰래 거두어 현재의 자리에 가매장을 하였다고 하며, 그후 1516년에 묘를 찾아 봉분을만들었고 1698년(숙종24년) 왕으로 신분이회복되어 능을 이름을 장릉으로 하였고 현재모습으로 다시 조성하였다고 합니다. 능침은 추존왕릉 제도에 따라 병풍석과 난간석, 무석인 등을 생략하여 간소하게 조성하였으며  홍살각과 정자각, 비각 수라간 수복방.재실..

여행 이야기 2025.03.09

강원도 영월군 청령포와 영월 한반도 지형을 조망을 하고

강원도 영월군에 소재하고 있는 청령포와우리나라 모형인 한반도 지형을 조망 할 수있는 지역인 오간재전망대를 다녀온 느낌과모습을 생각하며 포스팅을 합니다청령포는 영월군 남면 광천리 남한강의지류인 서강이 휘돌아 흘러 삼면이 강으로둘러싸여 있는데 한쪽으로는 육륜봉의험준한 암벽이 솟아 있어서 한반도처럼 생긴 지형이지요 청령포는 조선 제6대 임금인 단종이 세조에게 왕위를 빼았기고 유배지의 장소로 알려져 있으며, 단종이 청령포를 "육지고도"라고 표현했다고 하는데 지금도 나룻배를 타고서 가야하는 지역입니다. 단종이 청령포에 살았음을 말해주는 단묘유지비와 어가가 있으며,  단종이 한양을 바라보며 시름에 잠겼다고전하는 노산대와 한양에 남겨진 정순왕후를 생각하여 쌓은 돌탑, 외인의 접근을 금하기 위해영조가 세웎다는 금표비,..

여행 이야기 2025.03.04